30대 부동산경제이야기
안녕하세요 "30대 부동산경제이야기"입니다.
오늘은 연봉에 맞는 자동차를 한번 알아볼까 하는데요 저도 23살부터 차를 구매하기 시작해서 벌써 11번째 자동차를 바꿨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차를 좋아해서 차에 조금 소비를 한 거 같습니다.
요즘 경차나 중형차도 출고가가 많이 올라서 내가 이연봉에 어떤 자동차를 타야 할지 고민이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목차
1. 연봉 3천만 원 이하
2. 연봉 3500만 원 이하
3. 연봉 4000만 원 이하
4. 내용정리
연봉 3천만 원 이하
사회초년생 기준 보통 연봉 3천만 원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2024년 수령액으로 220만 원 정도 되는데요 비과세나 부양자녀 수에 따라서 산정기준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차량을 구입하기 전에 차량유지비도 생각하셔야 하는데요 차량할부금 기름 소모품 세금 보험료 등이 크게 들어가는 대목인데요 기름값 평균 20만 원 내외 소모품 10만 원 보험료 사회초년생기준 월 10만 원선 차량할부금은 어떤 차량을 구입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50만 원선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스파크나 모닝 경차로 출고를 했을 경우 월유지비가 벌써 100만 원가량이 나오며 월급에 최소 40% 이상을 소비해야만 유지가 가능합니다.
연봉 3500만 원 이하
연봉 3500만 원 이 정도면 제 기준에는 국민차 아반떼나 k3급 준중형 차를 선택할수 있을거같은데요 경차나 준준형 갭차이가 천만원정도 있습니다.
실수령액 260~270만 원선에서 1500만 원에서 2000만 원 정도 납입하시고 나머지 할부를 진행하시면 월유지비 100만 원선에서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풀할부로 유지하기는 조금 버거우니 어느 정도 차량가액 중에 50%는 자납을 하시고 구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.
연봉 4천만 원 이하
연봉 4천만 원 기준 4대 보험 소득세를 제외한 실수령액이 드디어 300만 원 턱걸이정도 수준이 될 거 같은데요 이 정도 수준이면 중형차나 중대형 차 중 고민을 많이 하실 텐데요 가정이있는가구라면 중대형 차를 선택할 거 같습니다.
이유는 중형기준 2000cc 중대형기준 2400cc부터 시작이 되는데 두 종류 모두 다 제가 유지해 봤는데 세금면이나 기름값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.
하지만 실내공간에서는 중대형차가 훨씬 넓기 때문에 무리하더라도 중대형차를 선택할 거 같습니다.
내용정리
오늘은 연봉에 맞는 차량을 재미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. 아무래도 자동차는 수입에 가장 큰 지출을 차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본인 경제사정 가정유무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것으로 보이며 재미로 읽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"30대 부동산경제이야기"였습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업자 등록증 발급 신청 사업사사본 발급해보자 (0) | 2024.06.07 |
---|---|
ecb기준금리 4.25% 인하 소식 eco5년만에 금리인하 0.25%인하 (0) | 2024.06.07 |
장병내일준비적금 24년군인월급 알아보기 (6) | 2024.06.06 |
자동차 매도용 인감증명서 발급 무인발급 인터넷발급 (1) | 2024.06.06 |
2024년 건강검진 무료 대상자 건강검진대상자 (1) | 2024.06.06 |